윈저역 (온타리오주)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윈저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에 있는 기차역으로, 1884년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처음 건설했다. 1961년 워커빌로 이전 후 폐쇄되었고, 2012년 새로운 역사가 완공되었다. 현재 VIA 철도의 코리더 노선이 윈저와 토론토를 연결하며, 암트랙의 울버린 열차는 2027년 윈저역까지 연장 운행될 예정이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윈저 (온타리오주)의 교통 - 앰배서더 다리
미국 디트로이트와 캐나다 윈저를 잇는 앰배서더 다리는 1929년 완공 당시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였으며, 현재 양국 간 무역의 중요한 통로이지만 잦은 사고와 노후화, 새 교량 건설 논란이 있다. - 윈저 (온타리오주)의 교통 - 윈저 공항
윈저 공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에 위치하며, 1928년 개항하여 여객 및 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2개의 활주로와 통신 시설 등을 갖춘 공항이다. - 윈저 (온타리오주)의 건축물 - 앰배서더 다리
미국 디트로이트와 캐나다 윈저를 잇는 앰배서더 다리는 1929년 완공 당시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였으며, 현재 양국 간 무역의 중요한 통로이지만 잦은 사고와 노후화, 새 교량 건설 논란이 있다. - 윈저 (온타리오주)의 건축물 - WFCU 센터
WFCU 센터는 온타리오주 윈저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, 윈저 스핏파이어스와 윈저 익스프레스의 홈구장이며 다양한 주요 스포츠 행사를 개최했고 2017년 메모리얼컵을 개최하며 국제적인 스포츠 이벤트 개최 능력을 입증했다. - 온타리오주의 철도역 - 키치너역
키치너역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키치너에 위치한 기차역으로, 다양한 철도 회사와 연결되어 VIA 철도, GO 트랜싯의 통근 열차 및 버스 노선이 운행하며, 2027년 키치너 센트럴역으로의 이전을 추진한다. - 온타리오주의 철도역 - 해밀턴 GO 센터
해밀턴 GO 센터는 1933년 해밀턴 역으로 개장한 아르 데코 양식의 건물로, 1996년 GO 트랜싯의 통근 열차와 버스 서비스를 통합하여 재개장한 철도 및 버스 터미널이다.
윈저역 (온타리오주) - [지명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지도 정보 | |
기본 정보 | |
![]() | |
주소 | 298 워커 로드, 윈저, 온타리오주, N8Y 2M9 |
소유주 | VIA Rail |
개업 | 1961년 |
재건축 | 2012년 |
구조 | 직원 배치 역 |
승강장 | 1개 측면 승강장, 2개 섬 승강장 |
선로 수 | 3 |
주차장 | 있음 |
수하물 취급 | 있음 |
접근성 | 가능 |
운행 정보 | |
VIA Rail | 토론토 선|윈저-토론토]] 채텀 방면 |
역 코드 | WDON |
2. 역사
윈저역의 역사는 1884년 그랜드 트렁크 철도가 샌드위치가(오늘날의 리버사이드 드라이브)와 구아요가에 지은 건물에서 시작되었다.[13] 1961년, 철도역이 워커빌로 이전하면서 기존 역사는 폐쇄되었다.[14] 역 부지에는 리버프론트 공원이 조성되었으며, 캐나다 내셔널 철도의 '스피릿 오브 윈저' 5588번 기관차가 전시되어 있다.[14]
VIA 철도 코리더 노선이 윈저와 토론토 간을 운행하며, 평일 기준 하루 4편의 열차가 토론토 방면으로 출발한다.[12]
암트랙의 나이아가라 레인보우 열차는 미시간 센트럴 철도를 따라 디트로이트강을 건너 디트로이트로 향했지만 이 역에 정차하지는 않았다. 대신 캐나다 사우던 철도에서 임대한 윈저 미시간 센트럴 철도 차량기지를 1979년에 디트로이트행 열차 운행이 중단될 때까지 역으로 대신 사용하였다.[15] 1911년에 지어진 이 역은 1996년에 화재로 전소되었다.[16]
2010년, VIA 철도는 1960년대에 지어진 기존 역사를 대체할 신역사 디자인을 발표하였다. 2012년 9월, 총 5300000CAD를 투입하여 신역사를 완공하였다.[17] 개통식에는 스티븐 플레처 캐나다 교통부 장관과 이브 데자르댕시실리아노 VIA 철도 CEO가 참석하였다.[17]
2021년 4월, 암트랙은 1971년에 운행을 중단한 디트로이트-토론토 간 여객열차 운행 재개 방안을 제시하였다. 이 계획은 110년 된 디트로이트강 하저 터널을 통과하는 노선으로, 캐나다 태평양 철도, VIA 철도, 온타리오주 교통부, 미시간주 교통부, 포드 모터 컴퍼니 등과의 협의가 필요하여 개통 시기는 불확실하다.[18] 암트랙 ''울버린''은 2027년 세관 승인 및 선로 개선을 거쳐 윈저역까지 연장 운행될 예정이다.[8]
3. 운행 노선
3. 1. 인접역
4. 향후 전망
암트랙은 2021년 4월, 1971년에 운행을 중단했던 디트로이트-토론토 간 여객열차 운행 재개 방안을 제시하였다.[18] 이 계획이 실현되면, 열차는 110년 된 디트로이트강 하저 터널을 지나게 된다.[18] 그러나 터널 소유주인 캐나다 태평양 철도, 캐나다 철도 운행 기관인 VIA 철도, 온타리오주 교통부, 미시간주 교통부, 포드 모터 컴퍼니와의 협상이 필요하여 개통 시기는 불분명하다.[18]
참조
[1]
웹사이트
G.T.R. Station, Windsor, Ont., Canada. | Southwestern Ontario Digital Archive
http://swoda.uwindso[...]
[2]
웹사이트
Rail Stations Through The Years
http://www.internati[...]
International Metropolis
2015-10-10
[3]
웹사이트
Amtrak - Windsor, ON
http://www.trainweb.[...]
[4]
웹사이트
Michigan Central Station – 1976
http://www.internati[...]
International Metropolis
2015-10-10
[5]
뉴스
New Windsor Via rail station opens its doors to rave reviews
https://windsorstar.[...]
2012-09-11
[6]
뉴스
New Windsor VIA Rail Station officially opens
http://www.rtands.co[...]
2012-11-19
[7]
간행물
Windsor Station Gare
https://www.flickr.c[...]
VIA Rail
[8]
뉴스
Dilkens believes Amtrak-VIA Rail link is an 'exciting opportunity'
https://www.iheartra[...]
2023-11-10
[9]
웹사이트
Windsor train station
http://www.viarail.c[...]
VIA Rail Canada
2017-02-11
[10]
웹사이트
Windsor train station
http://www.viarail.c[...]
VIA Rail Canada
2017-02-11
[11]
웹사이트
Windsor train station
http://www.viarail.c[...]
VIA Rail Canada
2017-02-11
[12]
웹사이트
Windsor-London-Toronto
http://www.viarail.c[...]
VIA Rail Canada
2017-02-11
[13]
웹인용
G.T.R. Station, Windsor, Ont., Canada
http://swoda.uwindso[...]
윈저 대학교
2021-05-06
[14]
웹인용
Spirit of Windsor Engine 5588
https://www.citywind[...]
2021-05-06
[15]
웹인용
Amtrak - Windsor, ON
http://www.trainweb.[...]
2021-05-06
[16]
웹인용
Michigan Central Station - 1976
http://international[...]
2021-05-06
[17]
뉴스
New Windsor Via rail station opens its doors to rave reviews
https://windsorstar.[...]
2021-05-06
[18]
웹인용
Amtrak ramps up pursuit of Detroit to Toronto rail passenger service
https://windsorstar.[...]
2021-05-06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